>   예배   >   주일예배

주일예배

말에 실수가 없는 사람
2025-03-09 15:37:58
아름다운교회
조회수   56

댓글

김두진(上善若水) 2025-03-11 10:04:24
말에 실수가 없는 사람(야고보서 3:1-12, Word) 말의 영향력 1. 우리가 때로 (말실수)를 해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2. 때로는 우리가 하는 말이 (칼)이 되는 경우가 있다. 3. 야고보 사도는 말에 실수가 없는 사람은 (온전)한 사람이라고 교훈하고 있다. (2절) 4. 야고보 사도가 말에 대해서 중요하게 여기는 이유는, 우선, 혀는 작지만, 그 (영향력/폐해)이 지대하다는 것이다. (3-6절) 5. 다른 하나는, (혀)를 길들이는 것이 정말 어렵다는 것이다. (8절) 6. 야고보 사도는 한 (입)에서 찬송과 저주가 같이 나오는 것은 마땅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이중적이고 위선적인 언어생활, 9-10절) 우리의 입술에 하나님의 말씀을 담으라 1. 우리가 말에 실수가 없는 사람, 즉 성숙하고 온전한 언어생활을 할 수 있는 비결은, 우리의 입술에 하나님의 (말씀)을 담는 것이다. 2. 하나님의 (말씀)은 창조의 말씀, 선한 말씀, 치유와 회복의 말씀, 그리고 사랑의 말씀이다. 3. 에스겔 선지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자신의 입술에 담아, 말씀의 (파수꾼)이 되었다. (겔3:2-3, 17) 4. 성숙한 신앙인으로 구별된 언어생활을 하기 위해서, 하나님의 (말씀)을 우리의 입에 채우고, 그 말씀으로 말하는 사람들이 되라. 말에 실수가 없는 사람(야고보서 3:1-12, 설교 내용 요약) 말의 영향력과 성숙한 언어생활 말은 작은 혀에서 나오지만 엄청난 영향력을 가진다. 야고보 사도는 혀를 배의 키, 말의 재갈, 작은 불씨에 비유하며, 우리의 말이 사람을 살릴 수도, 해칠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우리는 말실수를 통해 관계를 깨뜨리거나, 때로는 우리의 말이 칼처럼 다른 사람을 깊이 상처 입힐 수도 있다. 말에 실수가 없는 사람은 온전한 사람이라고 성경은 말하며(야고보서 3:2), 혀를 길들이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강조한다(야고보서 3:8). 또한 야고보 사도는 한 입에서 찬송과 저주가 동시에 나오는 것이 마땅하지 않다고 지적한다(야고보서 3:9-10). 우리는 한순간 하나님을 찬양하면서도, 다른 순간 형제를 헐뜯거나 비난하는 말을 할 때가 있다. 이러한 언어의 이중성을 버리고, 신앙인의 언어는 온전하고 일관되어야 한다. 우리의 입술에 하나님의 말씀을 담으라 우리의 말을 변화시키는 유일한 길은 하나님의 말씀을 우리의 입술과 마음에 채우는 것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창조의 말씀, 선한 말씀, 치유와 회복의 말씀, 사랑의 말씀이다. 에스겔 선지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먹고 말씀의 파수꾼이 되었다(겔 3:2-3, 17). 우리는 매일 큐티와 성경통독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하며, 우리의 입술이 그 말씀을 전하는 도구가 되도록 해야 한다. 우리의 말이 하나님께 드려지는 예배가 되며, 사람들에게 생명을 주는 믿음의 언어가 되도록 힘써야 한다.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전체 메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