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배   >   주일예배

주일예배

율법주의의 한계
2025-02-23 15:45:46
아름다운교회
조회수   70

댓글

김두진(上善若水) 2025-02-25 11:18:52
율법주의의 한계(야고보서 2:10-13, Word) 율법, 복음, 그리고 율법주의 1. (율법)은 하나님의 법이기 때문에, 선한 것이다. (롬7:12, 딤전1:8) 2. 율법은 선하지만, 그 율법이 우리를 구원하지 못하고, 오직 (복음)이 우리를 구원한다. (롬3:20) 3. (율법주의)는 우리 인간이 율법을 지켜서 의롭게 되고, 구원을 받을 수 있다는 잘못된 가르침을 말한다. 4. 사도 야고보는 본문의 말씀을 통해서, 율법이 가진 (엄격함)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10절) 5. 실제로 유대인들은 이런 율법의 (규정)에 억눌려 있었다. 6. 우리는 율법의 엄격함에 짓눌리는 것이 아니라, 복음 안에서 (자유)함을 누리면서 신앙생활을 해야 한다. (고후3:17) 복음, 율법주의의 한계를 뛰어넘는 복 1. 야고보는 과거에 우리를 얽매는 잘못된 율법주의가 아닌,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 새로운 (율법)이 있다고 말씀하고 있다. (12절) 2. 사도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주어진 “생명의 (성령)의 법”이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 (롬8:1-2) 3. 이제 우리가 해야 하는 신앙생활의 특징은, “비판과 정죄”가 아니라 (긍휼)함이 드러나야 한다. (13절) 4. 우리는 율법의 엄격함이 아니라 (복음)의 자유함을 누리면서 살아야 한다. 율법주의의 한계(야고보서 2:10-13, 설교 내용 요약) 율법, 복음, 그리고 율법주의 율법은 하나님의 법이며, 거룩하고 선한 것이다(롬7:12). 하지만 율법 자체가 우리를 구원하지 못하며, 오직 복음만이 구원을 준다(롬3:20). 율법주의는 인간이 율법을 지켜 구원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는 잘못된 가르침이다. 그러나 누구도 율법을 완벽하게 지킬 수 없으며, 율법은 오히려 죄를 깨닫게 하는 역할을 한다. 유대인들은 613개의 율법 조항을 지키려다 오히려 억눌려 있었으며, 율법의 엄격한 규정은 신앙을 부담과 의무로 만들었다. 복음, 율법주의의 한계를 뛰어넘는 복 하지만 우리는 율법에 얽매이는 것이 아니라, 복음 안에서 자유함을 누려야 한다(고후3:17). 야고보는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 새로운 율법이 있음을 강조하며(12절), 바울은 “생명의 성령의 법”이 우리를 죄와 사망의 법에서 해방한다고 선포한다(롬8:1-2). 이제 신앙생활은 비판과 정죄가 아니라 긍휼과 사랑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13절). 율법주의의 엄격함이 아니라, 복음의 자유함 속에서 기쁨과 감사로 살아가는 성숙한 신앙인이 되어야 한다.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전체 메뉴 보기
×